맨위로가기

사랑과 분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랑과 분노》는 1960년대 후반 이탈리아의 사회 변화와 정치적 격변을 배경으로, 여러 감독들이 성경의 가르침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제작한 옴니버스 영화이다. 이 영화는 예수의 비유와 정경 복음서의 일화를 현대적으로 재현한 에피소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를로 리차니,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장 뤽 고다르, 마르코 벨로키오 등의 감독들이 참여했다. 각 에피소드는 무관심, 고뇌, 민주주의와 혁명의 양립 불가능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1969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복음서 '70》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 영화 - 잠자는 미녀 (영화)
    2012년 개봉한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의 이탈리아 영화 잠자는 미녀는 엘루아나 엥글라로 사건을 배경으로 안락사 합법화에 대한 정치적 갈등과 이념 대립 속에서 피어나는 사랑, 혼수상태 딸을 간호하는 여배우의 절망, 삶의 희망을 되찾는 여성의 이야기를 교차하며 삶과 죽음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영화이다.
  •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 영화 - 굿모닝, 나잇
    굿모닝, 나잇은 2003년 개봉한 이탈리아 영화로, 붉은 여단 테러리스트의 알도 모로 납치 사건을 다루며, 키아라의 내적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각본상을 수상했다.
  •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감독 영화 - 다섯 마녀 이야기
    《다섯 마녀 이야기》는 루키노 비스콘티를 포함한 거장 감독들이 제작하고 실바나 망가노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한 옴니버스 영화로, 코미디를 통해 사회 비판, 시민 의식 결여, 가족주의의 어두운 면모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감독 영화 - 아카토네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감독의 데뷔작인 아카토네는 로마 외곽 빈민가를 배경으로 매춘부에게 기생하는 무위도식한 포주 아카토네의 비극적인 삶을 그린 영화이다.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 영화 - 리틀 부다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1993년 영화 《리틀 부다》는 석가모니의 전생으로 여겨지는 소년 제시와 싯다르타 고타마의 깨달음 과정을 병행하여 보여주며, 네팔과 부탄에서 촬영되었고 사카모토 류이치가 음악을 맡았으나, 평단의 반응은 엇갈렸다.
  •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 영화 - 마지막 황제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의 영화 《마지막 황제》는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의 파란만장한 삶을 20세기 중국 역사 배경 속에서 시간 순서대로 묘사하며,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9개 부문을 수상했다.
사랑과 분노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영화 "사랑과 분노" 포스터
원제Amore e rabbia
영어 제목Love and Anger
감독마르코 벨로키오 (세그먼트 "Discutiamo, discutiamo")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세그먼트 "Agonia")
장 뤽 고다르 (세그먼트 "L'amore")
카를로 리차니 (세그먼트 "L'indifferenza")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세그먼트 "La sequenza del fiore di carta")
엘다 타톨리 (세그먼트 "Discutiamo, discutiamo")
각본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마우로 볼로니니
마르코 벨로키오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카를로 리차니
장 뤽 고다르
음악조반니 푸스코
촬영알랭 르방
산드로 마르코니
편집니노 바랄리
프랑코 프라티첼리
출연마르코 벨로키오
니네토 다볼리
줄리안 벡
니노 카스텔누오보
톰 베이커
크리스틴 제오
장르드라마
옴니버스 영화
제작카를로 리차니
개봉일1969년
상영 시간102분
제작 국가이탈리아
프랑스
언어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한국어 제목 정보 (사랑과 분노)
감독장 뤽 고다르
제작카를로 리차니
각본마르코 벨로키오
장 뤽 고다르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카를로 리차니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출연톰 베이커
줄리안 벡
음악조반니 푸스코
촬영알랭 르방
주세페 루졸리니
아이아체 파롤린
편집니노 바라글리
프랑코 프라티첼리
아그네스 길레모
로베르토 페르피그나니
한국어 제목 정보 (애정과 분노)
배급아폴론 (VHS 발매만 해당)
공개일1990년 5월 21일 (VHS 발매만 해당)

2. 제작 배경

이 영화는 예수의 비유와 정경 복음서에 나오는 몇 가지 주제를 다루는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감독들은 이 주제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1969년 제1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복음서 '70》( ''Vangelo '70'' )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카를로 리차니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은 각각 선한 사마리아인, 열매 맺지 못하는 무화과 나무의 비유를,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감독은 현대 세계의 공포 속에서 무고한 죄의식에 대한 에피소드를 연출했다.

2. 1. 초기 기획

초기에는 발레리오 주를리니() 감독의 《그의 오른쪽에 앉아》를 포함하여 《복음서 '70》이라는 제목으로 기획되었다. 제1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복음서 '70》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이후, 《그의 오른쪽에 앉아》는 장편으로 제작되었고, 장 뤽 고다르 감독의 《탕아들의 출발과 귀환》과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의 《논쟁하자, 논쟁하자》가 이를 대신했다.

2. 2. 감독 교체 및 추가

이후, 《그의 오른쪽에 앉아》는 장편으로 제작되었고, 장 뤽 고다르 감독의 《탕아들의 출발과 귀환》과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의 《논쟁하자, 논쟁하자》가 이를 대신했다. 《탕아들의 출발과 귀환》은 민주주의와 혁명이 사랑받더라도 적합하지 않다는 내용이다. 이 에피소드의 대사는 여성 2명은 프랑스어로, 남성 2명은 이탈리아어로 되어 있지만, 두 언어 모두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논쟁하자, 논쟁하자》는 대학교를 점유하고 있는 혁명적인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차이에서의 변증법의 한 예이다.

3. 에피소드

이 영화는 예수의 비유와 정경 복음서에 나오는 몇 가지 주제를 다룬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제들은 감독들에 의해 현대를 배경으로 재현되었다.

1969년 제1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복음서 '70》(''Vangelo '70'')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이후, 《그의 오른쪽에 앉아》는 장편 영화로 제작되었고, 장 뤽 고다르 감독의 《탕아들의 출발과 귀환》과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의 《논쟁하자, 논쟁하자》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탕아들의 출발과 귀환》은 민주주의와 혁명이 사랑받더라도 적합하지 않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 에피소드의 대사는 여성 2명은 프랑스어로, 남성 2명은 이탈리아어로 되어 있지만, 두 언어를 모두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3. 1. 무관심 (Indifference)

어떤 남자가 길에서 심하게 다쳐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지나가는 사람들은 그를 거들떠보지도 않고 제 갈 길을 간다. 이 에피소드는 예수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서 가져온 것이다.

1969년 제1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복음서 '70》(''Vangelo '70'')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카를로 리차니 감독과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이 연출한 에피소드는 각각 선한 사마리아인, 열매 맺지 못하는 무화과 나무의 비유를 소재로 했으며,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감독이 연출한 에피소드는 현대 세계의 공포 속에서 무고한 죄의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었다. 이 3개의 에피소드는 발레리오 주를리니(Valerio Zurlini) 감독의 《그의 오른쪽에 앉아》(''Seduto alla sua destra'', 한국 미개봉, 1968년)와 함께 《복음서 '70》의 첫 번째 핵심이었다.

출연자는 다음과 같다.

3. 2. 고뇌 (Agony)

줄리안 벡

어떤 주교가 병에 걸려 죽음을 앞두고 있다. 그는 죽기 전, 하느님의 환영을 보게 되고, 하느님은 그에게 그의 삶이 잘못 사용되었다고 말한다. 주교는 자신이 복음을 제대로 존중하지 않고 삶을 보냈다는 것을 깨닫지만, 지금은 너무 늦었다.

1969년 제1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복음서 '70》( ''Vangelo '70'' )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이 연출한 에피소드는 열매 맺지 못하는 무화과 나무의 비유를 소재로 했다.

3. 3. 종이꽃의 시퀀스 (The sequence of the paper flower)

니네토 다볼리가 연기한 아름다운 미소를 띤 한 남자가 커다란 양귀비꽃 종이를 들고 도시의 거리를 걷고 있다. 그 소년은 선함과 순수함 그 자체였지만, 곧 인간의 악의에 의해 짧은 생을 마감한다. 명랑한 소년이 걸어가는 동안,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인간이 저지른 악행을 보여주는 장면들이 교차된다. 이야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소년은 하늘에서 떨어진 번개에 맞아 죽게 되는데, 이는 그가 생전에 행복한 사람이자 좋은 이웃이었던 것에 대한 죄책감 때문이었다.

1969년 제1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복음서 '70》( ''Vangelo '70'' )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감독이 연출한 이 에피소드는 현대 세계의 공포 속에서 무고한 죄의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었다.

3. 4. 사랑 (Love)

1969년 제1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복음서 '70》( Vangelo '70|it )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카를로 리차니와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감독이 연출한 에피소드는 각각 선한 사마리아인, 열매 맺지 못하는 무화과 나무의 비유를 소재로 했으며,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감독이 연출한 에피소드는 현대 세계의 공포 속에서 무고한 죄의식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었다. 이 3개의 에피소드는 발레리오 주를리니() 감독의 《그의 오른쪽에 앉아》( Seduto alla sua destra|it , 한국 미개봉, 1968년)와 함께 《복음서 '70》의 첫 번째 핵심이었다.

이후, 《그의 오른쪽에 앉아》는 장편으로 제작되었고, 장 뤽 고다르 감독의 《탕아들의 출발과 귀환》과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의 《논쟁하자, 논쟁하자》가 이를 대신했다. 《탕아들의 출발과 귀환》은 민주주의와 혁명이 사랑받더라도 적합하지 않다는 이야기이다. 이 에피소드의 대사는 여성 2명은 프랑스어로, 남성 2명은 이탈리아어로 되어 있지만, 두 언어 모두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3. 5. 토론합시다, 토론합시다 (We tell, tell)

마르코 벨로치오와 엘다 타톨리가 연출하였다. 이 에피소드는 대학을 점거한 젊은이들이 60년대 학생 혁명의 투사였지만, 건물을 손에 넣은 후 서로 논쟁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변화를 가져오려 하지만, 헛소리만 할 뿐 사회를 바꾸는 일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대학교를 점유하고 있는 혁명적인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 간의 변증법적 갈등을 다룬다. 마르코 벨로치오가 직접 출연했다.

4. 출연진

영화는 옴니버스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편마다 다른 감독과 출연진이 참여했다.


  • '''고통'''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연출)
  • * 줄리안 벡 (죽어가는 남자 역)
  • * 짐 앤더슨
  • * 주디스 말리나
  • * 줄리오 체사레 카스텔로 (사제 역)
  • * 아드리아노 아프라 (서기 역)
  • * 페르날도 디 잠마테오
  • * 페트라 포그트
  • * 로마노 코스타 (서기 역)
  • * 밀레나 부코티치 (간호사 역)

  • '''사랑''' (장 뤽 고다르 연출)
  • * 크리스틴 구에호
  • * 니노 카스텔누오보
  • * 카트린 조르당
  • * 파올로 포제시

  • '''종이꽃의 시퀀스'''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연출)
  • * 니네토 다볼리 (리체토 역)
  • * 로셸 바르비니 (어린 소녀 역)
  • * 알도 푸글리시 (신 역)

4. 1. 주연


  • 톰 베이커
  • 줄리안 벡
  • 짐 앤더슨
  • 주디스 말리나
  • 줄리오 체사레 카스텔로
  • 아드리아노 아프라
  • 페르날도 디 잠마테오
  • 페트라 포그트
  • 로마노 코스타
  • 밀레나 부코티치
  • 크리스틴 구에호
  • 니노 카스텔누오보
  • 카트린 조르당
  • 파올로 포제시
  • 니네토 다볼리
  • 로셸 바르비니
  • 알도 푸글리시
  • 마르코 벨로키오

4. 2. 조연


  • 주디스 말리나
  • 니네토 다볼리
  • 알도 푸글리시
  • 니노 카스텔누오보
  • 카트린 주르당
  • 마르코 벨로치오
  • 줄리안 벡
  • 짐 앤더슨
  • 줄리오 체사레 카스텔로 (사제 역)
  • 아드리아노 아프라 (서기 역)
  • 페르날도 디 잠마테오
  • 페트라 포그트
  • 로마노 코스타 (서기 역)
  • 밀레나 부코티치 (간호사 역)
  • 크리스틴 구에호
  • 파올로 포제시
  • 톰 베이커
  • 로셸 바르비니 (어린 소녀 역)

5. 제작진


  • '''고통''' 연출: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
  • 줄리안 벡 - 죽어가는 남자 역
  • 짐 앤더슨
  • 주디스 말리나
  • 줄리오 체사레 카스텔로 - 사제 역
  • 아드리아노 아프라 - 서기 역
  • 페르날도 디 잠마테오
  • 페트라 포그트
  • 로마노 코스타 - 서기 역
  • 밀레나 부코티치 - 간호사 역

  • '''사랑''' 연출: 장 뤽 고다르
  • 크리스틴 구에호
  • 니노 카스텔누오보
  • 카트린 조르당
  • 파올로 포제시

  • '''종이꽃의 시퀀스''' 연출: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 니네토 다볼리 - 리체토 역
  • 로셸 바르비니 - 어린 소녀 역
  • 알도 푸글리시 - 신 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